교정의 치료시기는?

 교정의 치료 시기는 언제가 가장 좋을까요?

 대한치과교정학회에서는 영구치열이 완성이 되는 시기인 만12세 ~ 만14세 사이가 가장 적기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무조건적으로 그 시기에 치료를 하지는 않고 영구치가 나기 시작하는 6세경에 가까운 교정과를 방문하여 검사 받아보기를 권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는 영구치열이 완성되는 시기에 교정을 하더라도 그 이전에 간단한 교정치료를 통해 골격의 부조화 혹은 치아 배열의 문제들을 조기에 해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때에는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철사와 브라켓을 이용한 교정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입술의 훈련, 호흡법, 간단한 성장 교정 장치등을 이용하여 치료하게 됩니다.  

 병원에 내원하는 시기는 매달 내원하는 경우도 있지만, 2~3달 간격으로 내원하여 상태가 개선되는지 체크하게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2013-03-30 10-22-37_cr.jpg

 튀어나온 앞니를 치료하기 위해 병원을 찾은 경우입니다. 아직 성장기며 치열이 완성 되지 않은 상태라 간단한 교정 장치만 착용하고 성장을 지켜보기로 하였습니다. 보통 지금 상태에서 철사와 브라켓을 이용한 교정치료를 진행하고자 한다면 이를 뽑고 교정치료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성장의 형태가 좋을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뽑지 않는 교정치료로 진행하기로 하였습니다. 

 치료전 입안의 모습

 치료전 입안의 모습

 치료를 위해 입천장에 TPA라는 간단한 교정 장치를 사용합니다.

 치료를 위해 입천장에 TPA라는 간단한 교정 장치를 사용합니다.

 장치가 제대로 장착되는지, 제대로 턱의 성장은 진행되는지 판단하기 위해 2개월에 한번 정도 병원에 와서 체크를 받고 1년 혹은 2~3년 정도 치아가 제대로 맹출 되는지 관찰하게 됩니다.

 치아가 맹출한 만12세에 교정 치료를 시작하여 이를 뽑지 않고 교정치료를 마무리하고 남은 성장을 관찰하게 됩니다. 

 이렇게 간단한 과정을 거치고도 이를 뽑지 않았지만, 정상적인 입술의 형태와 뻐드러진 앞니가 뒤로 들어가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성장을 잘 활용할 수 있으면 이를 뽑지 않아도 이를 뽑은것 만큼의 효과를 얻어낼 수 있습니다. 

 교정치료는 공장에서 찍어낸 기계나 틀에서 만들어진 붕어빵 같은 대상이 아니라 개개인이 모두 특별한 존재인 사람을 대상으로 합니다. 따라서 OOO 브라켓 치료 OOO만원 식의 치료는 지양되어야 합니다. 교정치료는 특히 성장기 어린이라면 적절한 성장의 조절과 방해 요소들만 제거해주어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치료가 당장 필요하지 않더라도 영구치 앞니가 나기 시작하는 만6세(7~8세) 정도가 되면 교정 치과를 방문하여 성장의 양상을 체크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울산치아교정 울산BS치과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마우스가드

안녕하십니까?

울산치아교정을 위해 노력하는 울산BS치과입니다. 

마우스 가드는 치아를 둘러 싸는 형태로 제작되고 심한 이갈이나 운동중에 발생하는 충격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현재 최고의 농구선수 스테판 커리의 마우스가드 물고 있기는,그의 트레이드 마크죠

현재 최고의 농구선수 스테판 커리의 마우스가드 물고 있기는,그의 트레이드 마크죠

 

 크게 3가지 형태의 마우스 가드가 있습니다.

 1. 기성품

기성품으로 나오는 마우스가드

기성품으로 나오는 마우스가드

 구입후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저렴하고 쉽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치아에 밀접하게 적합되기는 힘들고 부피가 커서 숨을 쉬거나 말을 하는것을 어렵게 할 수 있다. 보호 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많은 의사들이 사용을 권하지는 않습니다.

 2. 뜨거운물을 이용하여 성형하는 마우스가드

뜨거운 물을 이용하여 성형할 수 있는 마우스 가드

뜨거운 물을 이용하여 성형할 수 있는 마우스 가드

 뜨거운물을 이용하여 성형할 수 있는 마우스 가드도 쉽게 구입할 수 있습니다. 성형을 하기 때문에 기성품에 비하여 적합도는 더 좋은 편입니다. 뜨거운 물에 넣어서 마우스가드를 부드럽게 만든후 입안에서 치아에 맞게 손가락이나 혀를 이용하여 형태를 잡아갑니다.

 3. 병원에서 만드는 마우스가드

병원에서 치아에 맞게 제작되는 마우스가드

병원에서 치아에 맞게 제작되는 마우스가드

 병원에서 치아에 맞게 제작되는 마우스가드입니다. 잇본을 뜨고 여기에 맞게 특수한 실리콘등을 이용하여 제작합니다. 일반적인 기성품에 비해 맞춤으로 제작하기 때문에 시간이 걸리고 상대적으로 제작비용이 많이 들어갑니다. 하지만 가장 적합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편하고 보호를 잘 하는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마우스가드는 일반적으로 윗니에 장착을 합니다. 그러나 특별한 경우에는 아랫니에도 쓰기도 합니다. 마우스가드는 착용시 편안해야 하고, 찢어지지 않아야 하며, 튼튼하고 청소가 잘 되어야 합니다. (입안은 가장 세균이 살기 쉬운 환경입니다.) 또한 착용 중 호흡이나 발음에 영향이 적어야 합니다.

 마우스가드는 모든 사람들에게 필요한 장치입니다. 특히 운동을 하는 경우, 축구, 복싱, 하키, 농구, 야구등의 운동에서 착용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운동중에 마우스가드를 사용하기를 권장하는 이유는 운동중에 발생하는 충격으로 부터 치아뿐만이 아니라 뇌까지 보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교정 장치를 착용하고 있더라도 마우스가드는 착용이 가능하며, 이때는 기성품은 사용이 불가능하고 병원에서 특수하게 제작하애 합니다.

 운동의 종류에 따라서도 형태는 달라집니다. 충격을 보호해야 하는경우는 치아 전체를 덮어주는 마우스가드를 제작하고 순간적인 힘을 발휘해야 하는 경우에는 어금니 부위를 강화하는 형태의 마우스가드를 제작합니다.(어금니를 꽉 깨물어야 힘이 나는 운동등)

 충격이 심하게 발생하는 운동(인라인 스케이트, 하키, 스케이트보드)등의 익스트림 스포츠에서는 5미리 정도의 두꺼운 마우스가드를 제작하고, 단순한 보호를 위해서는 이보다 얇게 만들기도 합니다.

 마우스가드의 종류는 운동의 상태, 환자의 불편감 등을 고려햐여 치과의사와 상담하여 제작하게 됩니다.

 마우스가드는 한번 만들어서 오래 쓰지는 못합니다. 일반적인 성인의 경우 2~3년 정도마다 교체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성장기 아동의 경우에는 치열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6개월마다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마우스가드를 조절하기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교정치료중 혹은 교정이 끝난 환자가 MRI를 찍어야 한다면?

 안녕하세요
 
 아름다운 미소를 위해 노력하는 울산BS치과입니다.

 교정 환자가 MRI 촬영을 할 수 있을까요?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자기공명영상 등으로 불리는 이 방식은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 공명 장치에 사람이 들어가 고주파를 발생시켜서 몸속 수소 핵의 공명을 일으켜 영상을 얻어내는 방식입니다.
 
 촬영중에 강력한 자기력을 발생 시키기 때문에 자력을 가진 물체가 몸안에 있을 경우에는 물체를 제거하지 않으면 열화상을 입을 수도 있습니다.

UPDATE: Questions about why we were doing what we were doing? Please see the FAQ under "MRI magnet quench: the movie." That video is also entertaining, btw. Fun, games and safety implications with a 4 tesla (T) MRI magnet that was about to be decommissioned.

 교정장치도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MRI를 촬영할때는 영향을 받게 됩니다. 

 그럼 교정 장치를 다 제거해야 하는걸까요?

 실제로 과거에는 MRI 촬영을 위해서는 모든 교정장치를 제거하였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무조건적으로 제거하지는 않고, 교정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MRI 촬영 부위에 따라서 제거하기도 하고 제거하지 않기도 합니다. 

 2014년 유럽교정학회에 발표된 논문인 "Magnetic resonance imaging artefacts and fixed orthodontic attachments"에서는

 실험결과 다음과 같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해석하면 아래 챠트처럼 해석할 수 있습니다

 장치의 자성여부나 재료 여부를 알 수 없다면 자석을 장치에 대어보아 자석에 붙지 않고, 촬영하는 부위가 입안과 떨어진 곳이라면 제거하지 않아도 되는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설측 유지장치의 경우 대부분의 경우 스테인리스 와이어를 꼬아서(Spiral Wire) 부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최근 Reliance사에서 나오는 Bond a Brad 같은 유지장치(울산BS치과에서 사용하는 설측 유지장치용 와이어)는 티타늄이 들어 있어서 자성을 띄지 않아 제거하지 않아도 됩니다.

 교정 치료중 혹은 교정치료 후 유지관리중에  MRI를 촬영해야 한다면 다니시는 교정 치과에서 한번 더 체크해 보시기를 권해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