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데노이드형 얼굴이 생기는 과정

 아데노이드형 얼굴(Adenoid Face, Long Face Syndrome)이 생기는 가장 흔한 이유는 입으로 숨을 쉬는 구호흡(Mouth Breath) 때문입니다.

 단순히 호흡을 하는것으로 어떨게 얼굴이 길어지는 아데노이드형 얼굴로 변형되게 될까요? 오늘은 이 과정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정상적인 호흡 상태의 코,입 그리고 혀의 관계

정상적인 호흡 상태의 코,입 그리고 혀의 관계

 입으로 호흡하는 경우의 코, 입 그리고 혀의 관계

 입으로 호흡하는 경우의 코, 입 그리고 혀의 관계

 위 사진은 정상적으로 비호흡(코로 숨쉬기) 상태와 코로 호흡하지 못하는 구호흡 상태를 비교하고 있습니다. 코의 안쪽에 위치한 아데노이드 조직등이 비대해져서 비호흡이 방해 받게되면 구호흡이 일어날수 있고, 혀가 구호흡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혀의 위치는 혀의 뿌리쪽인 아래쪽으로 낮추게 됩니다.

videoplayback.mp4_20180801_233800.160.jpg
videoplayback.mp4_20180801_233809.221.jpg

 입안에서 큰 힘을 발휘하며 위쪽 이(상악치아)들을 받쳐주는 혀가 아래로 떨어지게 되면 상악 치아들은 볼 근육의 힘을 받아서 입 안쪽으로 쓰러지게 됩니다.

conscious-breathing-mouth-breathing-u-shaped-maxilla.jpg
conscious-breathing-mouth-breathing-v-shaped-maxilla.jpg

 상악의 치아들이 볼근육의 힘을 받아 쓰러지게 되면 악궁이라고 불리는 치열의 전체적인 형태가 좁아지게 됩니다. 악궁이 좁아지면 치아 배열에 필요한 공간도 줄어들게 되므로 앞니쪽에서는 치열이 뒤틀어지기 시작합니다. 또한 위쪽의 치열과 아래쪽의 치열의 악궁이 서로 맞지 않게 되므로 아래턱은 뒤쪽으로 밀리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쉽게 볼 수 있는것은 신발을 새로 샀을때 신발이 작으면 발이 다 들어가지 않는 현상과 유사하다고 보면 됩니다.

videoplayback.mp4_20180801_234605.787.jpg
videoplayback.mp4_20180801_234612.051.jpg

 아래턱이 후방으로 위치하게 되면서 정상적인 성장은 방해를 받게되고 비교적 성장의 방해를 받지 않는 아래쪽으로 아래턱이 길이 성장을 하게 됩니다. 턱이 후방으로 위치면되서 혀뿌리가 숨쉴때 공기가 지나가는곳을 막기 때문에 기도공간의 확보를 위해 자세 또한 변화가 있게 됩니다. 바른 자세에서 얼굴을 내밀게 되면 거북목 형태의 자세로 변형이 일어납니다.

 이러한 과정속에 치열의 부정교합으로 앞니의 기능이 상실되게 되어 씹는 기능 대부분을 어금니가 맡게 되므로 어금니의 심각할 정도의 마모가 조기에 발생하기도 합니다. 혀의 후방 위치로 인한 턱관절 질환이 생기기도 하고 구호흡 하는 동안 충분한 습도가 형성되지 못해 기도가 건조해지고 침이 마르게되어 이가 잘 썩게 됩니다.

 이러한 변화는 단기간에 일어나는것이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서 일어나고,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지 않게 되면 성인이 되었을때는 교정장치를 이용한 치료 혹은 심각한 경우 수술을 동반한 치료까지도 필요하게 됩니다.  

 성장기 아동의 경우 이러한 증상이 발견될때에는 코로 숨쉬도록 장치를 사용하고 이와 병행하여 코로 숨쉬는 연습을 하게되면 정상적으로 돌아오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The Full Version Is Available On: tmd3d.com

 

 지금까지 울산 치아교정 전문 치과 울산 BS 교정치과에서 알려 드렸습니다.

많은 부모님들이 구호흡(입으로 숨쉬는것)에 대한 문제점을 모르고 계십니다

 봄이 되면 흔히 발생하는 알러지의 경우 사람들은 단순히 알러지를 일으키는 꽃가루같은 것들에 신경을 쓰지 입으로 호흡하는것을 신경 쓰지는 않습니다.

 구호흡이라고 불리는 입으로 숨쉬는것은 대부분의 부모님들 그리고 의사들이 간과하고 있는 증상중에 하나입니다. 저는 치과의사 특히 교정과 의사로서 정기적으로 환자를 관찰할 수 있는 기회가 있습니다. 제 환자들은 많게는 한달에 한번은 저와 만나게 되고, 긴 간격으로 만난다고 하여도 6개월에서 1년에 한번씩은 체크를 하게 됩니다. 어딘가 아파서 병원을 가는것이 아니라 본인의 성장 발육에 관한 평가를 받으러 오기 때문에 성장의 변화에 대한 체크를 많이 하게 되지요, 

 이때 가장 흔히 발견되는것이 구호흡입니다. 사람의 각 기관의 구조는 특정한 목적을 위해 발달되었습니다. 호흡의 경우에 있어서도 코로 숨쉬는경우와 입으로 숨쉬는것은 그 결과가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가장 흔히 알려진 구호흡의 부작용은 'Long Face Syndrome - 아데노이드형 얼굴'로 알려진 얼굴이 길어지는 증상입니다.

 John Mew형 장치라는 이름이 붙을 정도로 저명한 영국 런던의 교정과 의사 Dr. John Mew에 기록에 의하면 7세와 8세경에 내원한 자매의 기록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좌) 7세경의 Kelly, 우) 8.5세의 Smantha, 두 자매는 이때 당시 습관적인 구호흡이 있었으며 얼굴에 부정적인 변화가 발생하기 시작하고 있었고 구호흡 방지 교육과 근골격 훈련 치료를 시작하였습니다.

 좌) 7세경의 Kelly, 우) 8.5세의 Smantha, 두 자매는 이때 당시 습관적인 구호흡이 있었으며 얼굴에 부정적인 변화가 발생하기 시작하고 있었고 구호흡 방지 교육과 근골격 훈련 치료를 시작하였습니다.

 좌측의 kelly는 Dr. John Mew의 지시에 충실히 따른 반면, 우측의 Smantha는 지시에 따르지 않았습니다. 그 결과는 위 사진과 같습니다. Kelly는 균형잡힌 얼굴의 비율을 가진 반면, Smantha는 Long Face Syndrome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좌측의 kelly는 Dr. John Mew의 지시에 충실히 따른 반면, 우측의 Smantha는 지시에 따르지 않았습니다. 그 결과는 위 사진과 같습니다. Kelly는 균형잡힌 얼굴의 비율을 가진 반면, Smantha는 Long Face Syndrome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알러지혹은 습관등에 의한 구호흡이 지속되면 긴얼굴의 형태로 부터 시작하여, 잇몸의 과증식, 치은염, 부정교합 그리고 좋지 못한 수면습관까지도 진행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ADHD로 진단되는 어린이들중에 상당수가 구호흡에 의한 수면부족으로 인한 오진이라는 연구 결과들도 나오고 있습니다. 구호흡 문제는 체내의 혈중 산소 농도를 떨어뜨리고, 고혈압, 심혈관계질환, 수면무호흡등까지도 유도되는것으로 동물 실험으로 증명되고 있습니다. 

 어린이 시기에 발견되는 구호흡은 조기에 발견되고 적절히 치료 된다면 쉽게 치료될수 있습니다. 치열이 완성되는 청소년기, 그리고 성장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는 성인의 경우에 있어서는 수술이나 복잡한 교정 치료가 필요하지만 6~10세 사이의 어린이에 있어서는 적절한 장치 착용과 부모님의 관심, 근골격 훈련등을 통해 구호흡을 개선하고 건강한 치열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줍니다. 

3M Oral Care Club에서 강의하고 돌아왔습니다.

 안녕하세요

 아름다운 미소를 위해 노력하는 울산BS치과입니다.

지난 12월 3일 부산 서면 롯데 호텔에서 열린 3M Oral Care Club(3M OCC)에서 초청받아 강의를 마치고 돌아 왔습니다. 3M OCC는 치과 전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3M의 멤버쉽 프로그램으로 이번에 교정 치료를 접하고 계신 선생님들을 대상으로 교정 치료에 관한 여러가지 정보들을 제공하였습니다.

KakaoTalk_20171203_235818068.jpg

 3M OCC 강의에서 이영규 원장님은 최신의 교정장치 접착 방법에 대해서 강의하시고, 치아에 손상을 최소화 하는 교정 장치 접착 및 치료 과정중 손상된 치아의 재광화에 대해서 강의 하셨습니다.

 앞으로 더욱 노력하는 울산BS치과가 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