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의 하얀색, 갈색 반점의 치료

치아는 상아질(Dentin)과 법랑질(Enamel)이라는 두가지 딱딱한 구조로 되어 있어 이 두 물질이 치아의 내부를 보호하고 있습니다.

Tooth-Structure-Crown-Root-Anatomy_resize.png

그중에서도 법랑질은 우리 몸에서 가장 딱딱한 부위중의 하나이며 치아의 형태와 색상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구조이기도 합니다. 시간이 지나면 이 법랑질이 누렇게 되거나, 금이 가게 되고 심각한 경우는 흰색 -> 갈색 -> 검은색의 변화를 보이기도 합니다. 이 검은색으로의 변화는 아래의 상아질이 썩어가면서 생기는 현상으로 치아 우식이라고 합니다. 이가 썩어가는 것이지요, 실제 현미경 수준으로는 갈색으로 바뀌는 갈색반점 (brown spot)은 이가 썩은 것으로 판단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다행인 것은 이러한 흰색 반점, 갈색 반점은 꾸준한 관리로 어느 정도 회복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remineralization이라고 합니다.

좌측은 차, 커피, 담배등으로 인한 착색, 우측 White Spot, 과 Brown Spot이 존재하는 경우

좌측은 차, 커피, 담배등으로 인한 착색, 우측 White Spot, 과 Brown Spot이 존재하는 경우

치아가 무조건 갈색이라고 썩은것은 아닙니다. 가장 흔히 구분해야 하는것은 차, 커피, 담배 등을 즐겨하는 경우 발생하는 착색(Stain)과 치아가 썩는 Brown 스팟은 구분되어야 합니다. Stain의 경우 치석을 제거하는 스케일링이나, 물과 함께 미세한 연마제를 뿌려서 제거하는 PTC (Professional Tooth Cleaning)을 통해 제거 할 수 있습니다, 흰색반점(white spot), 갈색 반점(brwon spot)은 치과 의사의 지시하에 절절한 치약 사용과 수 회에 걸친 치면 코팅 및 재광화제 도포를 통해 개선되어야 합니다.

돌출입을 치료하기 위해 교정 장치를 부착하고 치료 하여 돌출입이 개선되었지만, 치료중에 양치질을 제데로 하지 못하여 치료 후에 브라켓 주변에 흰색 반점이 많이 발생하였습니다. 적극적 재광화 치료를 통해 화이트 스팟 대부분을 제거한 경우입니다.

돌출입을 치료하기 위해 교정 장치를 부착하고 치료 하여 돌출입이 개선되었지만, 치료중에 양치질을 제데로 하지 못하여 치료 후에 브라켓 주변에 흰색 반점이 많이 발생하였습니다. 적극적 재광화 치료를 통해 화이트 스팟 대부분을 제거한 경우입니다.

재광화 치료 5개월의 모습, 갈색 반점의 경우는 100% 돌아오게 하기에는 내부 구조가 망가져 있기 때문에 약간의 흔적은 남게 됩니다.

재광화 치료 5개월의 모습, 갈색 반점의 경우는 100% 돌아오게 하기에는 내부 구조가 망가져 있기 때문에 약간의 흔적은 남게 됩니다.

이러한 갈색 반점(brown spot), 흰색 반점(white spot)의 경우 그 범위가 큰 경우에는 회복이 불가능하여 라미네이트로 치료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라미네이트는 치아를 삭제해야 하기 때문에 가장 최종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치료입니다. 간단한 술식으로도 화이트스팟과 브라운스팟을 줄일 수 있고, 치료비도 상대적으로 저렴하기 때문에 조기에 발견하게 되면 재광화 치료를 먼저 권해드리고 있습니다.

재광화의 기간에는 대략적으로 내원 간격에 따라 달라지기는 합니다만 보통은 3개월에서 6개월 정도의 기간을 가지고 매주 혹은 월 1회 시앵하는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가지런한 앞니

앞니는 대문니라고 하여 다른 사람이 볼 때 가장 잘 보이는 치아 중의 하나입니다. 앞니는 영구치 중에서 가장 먼저 맹출 되는 치아 중의 하나이며 다른 치아들이 맹출 하면서 치아의 위치를 잡아가게 됩니다. 만 6세경에 나기 시작하는 앞니는 송곳니가 맹출 하는 만 10세 경까지 그 위치가 변하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인 것이 "Ugly Ducking Stage"라고 불리는 7세 이후에 발생하는 앞니 사이의 벌어짐입니다. 이 벌어진 공간은 송곳니가 맹출 하면서 자연스럽게 사라지게 됩니다.

7세경에 생기기 시작하는 대문니 사이의 벌어짐은 송곳니가 맹출 하면서 앞니를 앞으로 밀어주어 공간이 닫히고 앞니의 최종적인 배열은 송곳니가 맹출 되는 만 10세경에 완성이 됩니다.

7세경에 생기기 시작하는 대문니 사이의 벌어짐은 송곳니가 맹출 하면서 앞니를 앞으로 밀어주어 공간이 닫히고 앞니의 최종적인 배열은 송곳니가 맹출 되는 만 10세경에 완성이 됩니다.

This video was uploaded from an Android phone.

그러나 송곳니가 맹출 중 공간이 부족하여 충분히 맹출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유치가 빨리 빠져서 뒤쪽의 큰 어금니들이 앞으로 이동해와 공간을 잠식하거나 치아가 뼈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큰 경우 공간이 부족하여 맹출이 지연되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앞니의 배열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앞니가 틀어지거나, 혹은 송곳니가 맹출 하지 못하는 경우 있어서는 대문니와 얼굴의 중심선이 틀어지기도 합니다.

송곳니가 특정 원인으로 제대로 맹출 하지 못하는 경우 앞니가 틀어지거나 중심선이 맞지 않게 됩니다. 심각한 경우는 송곳니가 앞니의 뿌리를 녹이는 치근 흡수 증상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송곳니가 특정 원인으로 제대로 맹출 하지 못하는 경우 앞니가 틀어지거나 중심선이 맞지 않게 됩니다. 심각한 경우는 송곳니가 앞니의 뿌리를 녹이는 치근 흡수 증상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6세경부터 정기적인 치과 교정과 검사를 통해 치열의 발육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 좋습니다. 혼합치열기 (7세~12세 사이 영구치와 유치가 같이 존재하는 시기)에서는 송곳니의 맹출을 유도해주는 방식으로 치료를 하고 이에 따른 앞니의 자연스러운 이동을 관찰합니다. 필요에 따라서는 교정 장치를 부착하여 앞니의 이동을 유도하기도 합니다.

송곳니 위치를 교정 치료로 제대로 위치 시켜 주면, 공간 문제가 해결되면서 앞니의 중심선이 맞아지게 됩니다.

송곳니 위치를 교정 치료로 제대로 위치 시켜 주면, 공간 문제가 해결되면서 앞니의 중심선이 맞아지게 됩니다.

앞니의 틀어짐이나 중심선이 맞지 않는 영구치열의 경우에는 자연스러운 치아의 이동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교정 치료를 시작합니다. 교정 진단을 통해 잇몸뼈가 충분한지, 입술의 돌출이 있는지 아닌지, 골격적인 형태 등을 복합적으로 판단하여 발치, 비발치 여부를 결정합니다. 중심선을 맞추기 위해서는 많은 치아의 이동이 필요하기 때문에 마이크로 임플란트 등과 같은 골격성 고정원을 같이 사용하기도 합니다. 대략적인 치료기간은 18 ~ 36개월 정도가 소요되게 됩니다.

중심선이 맞지 않은 틀어진 앞니의 교정 치료 전후 비교

중심선이 맞지 않은 틀어진 앞니의 교정 치료 전후 비교

틀어진 앞니와 중심선이 틀어진 경우 교정치료의 시기는 치열의 상태, 틀어진 양 등에 따라서 치료 계획과 치료 시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조기에 발견될수록 치료가 간단해지고 치료의 결과가 안정성을 가집니다. 대한 치과교정학회에서는 교정 치료의 시기는 사람마다 다르다고 권고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영구치가 맹출 하기 시작하는 만 6세에 교정 치과를 방문하여 검사를 받아볼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개방교합(open bite)의 치료

위아래 치열이 제대로 배열되고 맞물리는 것을 교합이라고 합니다. 이상적인 교합은 전체 치열이 고르고, 윗니가 아랫니를 살짝 덮고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상적인 교합관계, 윗니와 아랫니는 정상적으로 맞물리고 하나의 치아가 2개의 치아와 맞닿는 톱니 형태의 교합 관계를 보입니다.

이상적인 교합관계, 윗니와 아랫니는 정상적으로 맞물리고 하나의 치아가 2개의 치아와 맞닿는 톱니 형태의 교합 관계를 보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이상적인 교합 상태를 못 이루는것을 것을 부정교합이라고 하며, 개방교합이라고 하는 것은 윗니와 아랫니가 서로 정상적으로 만나지 못해 입을 다물었음에도 불구하고 앞니 사이가 떠 보이는 경우를 말합니다.

개방교합은 앞니가 제대로 맞물리지 못하고, 앞니가 뜨는 부정교합의 형태를 말합니다.

개방교합은 앞니가 제대로 맞물리지 못하고, 앞니가 뜨는 부정교합의 형태를 말합니다.

  • 개방 교합은 단순히 앞니만 벌어져 보이는 것이 아니라, 발음의 이상과 앞니로 음식을 제대로 끊어먹지 못해 주변 치아들의 심각한 마모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턱의 성장 이상, 혀의 습관, 손가락 빨기 등의 습관이 지속되는 경우 개방 교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턱의 성장 이상이 있는 경우 성장기 아동이라면, 성장기 치료를 통해 근 골격 훈련을 병행하여 정상적인 성장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합니다.

  • 혀의 습관, 손가락 빨기 등의 습관도 줄이도록 교육을 하게 됩니다.

  •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장치로는 흔히 보이는 붙이는 철사와 금속의 교정 장치가 아닌 성장기, 습관을 치료하기 위한 마우스피스의 형태의 레진(플라스틱) 혹은 실리콘 형태가 많이 사용됩니다.

성장기 환자의 경우 습관을 없애주는 간단한 장치로도 개방교합을 줄일 수 있습니다. 야간에만 6개월 정도 장치를 착용 시킨 이후의 치료 전후의 비교

성장기 환자의 경우 습관을 없애주는 간단한 장치로도 개방교합을 줄일 수 있습니다. 야간에만 6개월 정도 장치를 착용 시킨 이후의 치료 전후의 비교

턱의 성장이 성장이 완료된 이후의 개방교합은 수술을 동반한 교정치료, 수술을 하지 않고, 비발치 혹은 발치 교정치료를 통해 치료하게 됩니다. 이때 사용하는 장치는 흔히 알고 있는 브라켓과 와이어로 치료하게 되고, 치료 기간은 개방교합의 형태, 복잡도 등에 따라서 24~36개월 정도의 기간 동안 교정 치료를 진행하게 됩니다.

성인의 개방 교합의 경우 발치를 동반한 교정 치료를 통해 개방교합을 해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골격성 반대교합이 심한 경우에는 수술을 권하기도 합니다.

성인의 개방 교합의 경우 발치를 동반한 교정 치료를 통해 개방교합을 해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골격성 반대교합이 심한 경우에는 수술을 권하기도 합니다.

개방교합의 치료를 위해서 많은 경우 발치치료를 선택하지만 최근 개발된 마이크로임프란트(미세나사교정)을 통해서 비발치 교정치료로도 부정교합이 개선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는 골격과 치아, 근육(혀)의 정확한 진단이 동반되어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개방교합의 치료를 위해서 많은 경우 발치치료를 선택하지만 최근 개발된 마이크로임프란트(미세나사교정)을 통해서 비발치 교정치료로도 부정교합이 개선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는 골격과 치아, 근육(혀)의 정확한 진단이 동반되어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성인이라 하더라도 악궁이라고 불리는 치열의 폭경이 잘못된 습관, 호흡 방법 등에 따라 잘못되어 있는 경우라면 교정 장치를 부착 전 호흡 및 습관 개선을 위해 6개월에서 1년 정도 마우스피스 등의 장치를 통해 근 골격의 적응 훈련을 먼저 시행하기도 합니다. 

본인의 교정 치료의 전략은 교정전문 치과에서 교정과 전문의와 상의 후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